제사 진설도
제례(祭礼)란 제사를 지내는데에 대한 여러가지 예(禮) 말하는 것이다.
그런데 이 예가 그리 복잡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제대로 지켜지지 않음은 그 만큼 현대인들이 제사(祭祀)를 등한히 한다는 반증이 되며 따라서 조상에 대한 자손의 도리를 다하지 않은 결과가 되는 것이다.
자기를 낳아 길러주고 돌보아주신 선조(祖)에 대한 정성을 다하는 예(禮)로서 모시는 자손의 당연한 도리라고 하겠다.
-
조율이시라 하여 대추, 밤, 배(사과), 감(곶감)의 순서대로 차리며 그 이외의 과일들 중 복숭아는 올리지않는다.
과일줄의 끝에는 조과류(손으로 만든과자)를 쓰되, 그 순서는 다식류(송화 녹말 흑임자)을 먼저 쓰고 그 다음이 유과류(산자, 강정 등), 마지막 끝에 당속류(오화당, 원당,옥춘 등)를 사용한다.
-
좌포우혜 라하여 왼쪽 끝에 포(북어 대구 오징어, 문어 등)를 쓰며 우측 끝에 혜(식혜)를 쓴다. 그 중간에 나물반찬은 콩나물, 숙주나물, 무나물 순으로 올리고 고사리, 도라지나물 등을 쓰기도 하며 청장(간장), 침채(동치미)는 그 다음에 올린다.
※ 각 집안 풍속에 따라 집에서 먼곳에서 얻을수 있는 재료부터 왼쪽에서 우측으로 진설하기도 함.
-
보통은 3탄으로 육탕(육류), 소탕(두부, 채소류), 어탕(어패류)의 차례로 올리며 5 탕을 사용할때는 봉탕(닭, 오리), 잡탕 등을 올린다.
-
보통은 3적으로 육적(육류), 어적(어패류), 소적(두부, 채소류)의 순서로 올리며 5적을 사용할때는 봉적(닭, 오리), 채소적을 더 사용하는 예도 있다.
-
메(밥)을 왼쪽에 갱(국)을 오른쪽에 올리며 잔은 메와 갱사이에 올린다.
시저(수저와 대접)는 단위제의 경우에 메의 왼쪽에 올리며 양위합제의 경우에는 중간 부분에 올린다.
면(국수)는 건데기만 올리며 청(조청, 설탕)은 편의 왼쪽에 올린다.
-
축판을 올려놓고 향로와 향합을 올려 놓으며 그 밑에 모사그릇, 퇴주그릇, 제주 등을 놓는다.
향상 위에 간혹 모사진 이라하여 강신할때 사용하는 잔을 놓기도 한다.
-
(각 지방 및 집안의 풍습에 따라 다를수 있음)
- 좌포우혜 : 좌측에 포, 우측에 혜(식혜)
- 어동육서 : 동쪽으로 어류, 서쪽에는 육류
- 두동미서 : 생선의 머리가 동쪽 방향으로, 꼬리는 서쪽 방향으로 향한다.
- 홍동백서 : 붉은색은 동쪽, 흰색은 서쪽
- 조율이시 : 대추.밤.배.감의 순서로 과일을 올린다.(조율시이 라하여 감과 배의 순서를 바꾸는 경우도 있다.)
※ 동쪽은 제관의 좌측, 서쪽은 제관의 우측을 말한다.
-
- 복숭아와 꽁치, 참치, 갈치 등 끝자가 치 자로 된것은 사용하지 않는다.
- 고추가루와 마늘, 양념을 하지 않는다.
- 식혜, 탕, 면은 건데기를 사용한다.
- 몸을 깨끗이하며 청결하게 조리를 하여야 한다.
- 과일을 올릴 때 우측에 붉은색 좌측에는 흰색 과일을 놓고 그 가운데에 조과류(다식, 유과, 당)를 놓는 예법도 있다.
- 진설의 순서는 시접과 잔반을 제일 먼저 올리되 앞줄서부터 순서대로 놓으면 된다.
- 참고로 조(대추)는 씨가 하나로 임금을 뜻하고 율(밤)은 세돌로 삼정승, 시(감)는 여섯개로 육방관속, 이(배,사과)는 여덟개로 8도 관찰사를 뜻함으로 조율시이의 순서가 옳다고 하는 예가 있다.
- 설에는 메 대신 떡국을 놓으며 추석때는 메 대신 송편을 놓는다.
- 두분을 모시는 양위합제때에는 메(밥)와 갱(국)과 시저를 각각 두벌씩 놓으면 된다.
- 시저(수저)를 꽂을 때에는 패인곳을 절하는 쪽으로 메(밥)의 한복판에 놓는다.
- 남좌여부라하여 남자는 좌측, 여자는 우측으로 모시는 것이 원칙이나 3년상안에는 산분하고 같이 대하는 것을 참고로 한다.